Xiao Azit
돈 버는 원리 이게 전부입니다. 본문
Youtube
1. 비밀은 없다.
각자 사람과 시대에 맞는 돈버는 법이 따로 있다고 한다.
그것을 찾아야한다.(나에게 맞는 일)
세상에 나모르는 특별한게 있다고 하면 끝이 없다.
성공의 법칙은 이미 우리가 안다.(실천을 안할뿐)
무한 탐색 모드 = 탐색만 하지 실천하지 않는다.
찾았다면 그 길을 가야한다. 그리고 그것에 맞는 정보 탐색과 분석을 해야한다.(목적성)
이것이 시대의 불변 : 변하지 않는 돈버는 방법입니다.
2. 레퍼런스(목적성을 찾아라. 따라가라)
훔치기. 어떻게 잘하는지 카피(노하우)해라
잘되기 위한 법칙
(1) 아이템 레퍼런스
물이 나올놈을 잘골라라. 돈이 잘되는 카테고리는 정해져있다.
시장이 크니까 광고주가 돈이 많다. 시장에 대한 수요가 크다.
자기계발 분야는 비추. 그 이유가 시장에 돈이 적어 들어오는 돈이 적다.
자기개발 < it 분야 10배
카테고리와 아이템을 봤을때 레퍼런스를 봐야한다.
(2) 기준 레퍼런스
어느 정도 수준이여야 잘팔리는지 잘팔리는지 점검해야합니다.
100% 망하는 비결은 내가 이사업을 할때는 월 1000만원을 벌어야겠어 하는겁니다.
10만원 100개 팔아야지 하면서 시장에 대해서 뇌피셜로 상품을 팔면 안팔린다.
저가에 팔아도 이정도 퀄리티, 가격이 되야한다고
내 기준이 아닌 세상에 기준이 되어야 한다.
이미 세상에 나온 물건들은 세상에 대한 기준이 되어야한다.
(3) 스킬
구체적으로 관찰하고 훔쳐와야합니다.
도대체 어떻게하면 맛있는 이런맛이 나는가?
그것보다 더 잘하려고 해야한다.
상세페이지 들어가면 나름 구조가 됩니다.
차별점 - 상세페이지를 들어가 봐야한다.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방안으로 말하는걸 잘봐라
아 이렇게 하면 잘팔리는구나, 아 이렇게 준비하면 사람들이 좋아하는구나를 훔쳐야한다.
이런것이 가장 빨리가는 지름길
확률이 높은 방법은 존재한다.
일정수준, 일정방법은 존재하기 마련이다.
이것은 레퍼런스를 통해 알 수 있다.
3. 실험 정신
'권도균의 스타트업 경영 수업' 중..
스타트업은 가설 검증의 과정이다. 라고 하셨다.
과학실에 실험하듯이.. 하지만
실패도 동반한다.
에디슨 전구처럼 (2333개 중) 큰 성공은 희박하다.
멘탈(우울증)걸리면서 실패라는것을 성공하는걸 재정의 해야한다.
아 이렇게 하면 망하는구나 라고 하면서 알아가는 과정입니다.
정신승리? 그러다 진짜 망하면 어떻하냐. 그래서 망하지 않고 도전해야한다.
MVP (미니멈 바이럴 프로젝트, 최소 기능 제품)
- 공장 x 그냥 방구석에서 만들어서 고객들 반응을 보고 양산해야한다.
대출 x 여윳돈으로 해야한다. 물리적으로 망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 끄덕끄덕 지금은 내이야기가 아니라서 그렇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마인드를 갖고 있어야한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Bq_ZOVMIDlI&t=283s
'블로그 > 비망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클라이트 플라스틱 발명가 (feat. 자폐아가 생기는 원인) (7) | 2024.09.28 |
---|---|
플라톤의 5가지 행복의 조건 (0) | 2024.09.03 |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0) | 2024.09.02 |
프레드리히 니체 관련 서적에서 (0) | 2024.08.28 |
소크라테스 (0) | 2024.08.22 |